오늘은 노인을 위한 아세클로페낙 적정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세클로페낙의 영어 표기는 Aceclofenac입니다.
아세클로페낙의 구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해열 진통 소염제로 근골격계에 필요한 의약품입니다.
효능 효과
강직 척추염, 류머티즘 관절염, 치통, 골관절염(퇴행 관절염) 및 견갑 상완골의 관절 주위염, 외상 후 생기는 염증, 요통, 좌골 통, 비관절성 류머티즘으로 인한 통증에 효능과 효과가 있습니다.
금기
아래와 같은 경력이 있는 사람들은 아세클로페낙을 섭취하는 것을 금기해야 합니다.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 또는 같은 계열의 일부 약물(디클로페낙)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활동성 소화성 궤양/ 출혈 또는 병력이 있는 환자,
아스피린 또는 다른 프로스타글란딘 합성효소 저해 작용을 갖는 약물에 의해 천식 위험의 증가, 두드러기 또는 급성비염을 일으킬 수 있는 천식 환자,
아스피린이나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COX-2 억제제 포함)에 대하여 천식, 두드러기 또는 알레르기 반응 병력이 있는 환자,
과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치료로 위장관 출혈 또는 천공의 병력이 있는 환자,
관상동맥 우회로술(CABG) 전후에 발생하는 통증의 치료, 중증 심부전 환자, 중증 신장애 환자,
중증 간장애 환자,
출혈이 있거나 혈액응고장애가 있는 환자
임신 말기의 임부, 수유부, 크론병 또는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 환자,
용법 용량
노인을 위한 아세클로페낙 적정 용법 용량입니다.
경구제이며, 1회 100mg씩 1일 2회 섭취하면 됩니다.
고령자에 대한 투여 관련 주의 사항
위장관 출혈, 소화성 궤양 위험성 증가하므로 장기간 투여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나 골관절염에 단독 사용하거나 경증의 골관절염 통증 경감을 위해서는 3달 이내 사용, 다른 대체약이 효과 없거나 프로톤 펌프 억제제, 미소프로스톨 병용한 경우에는 사용 가능합니다.
주요 약물 상호 작용
다른 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사용 시 이상 반응이 증가합니다.
경구용 항응고제(와르파린) 사용시 출혈 경향이 증가합니다.
이뇨제와 사용 시 나트륨 뇨배설 효과가 감소합니다.
리튬과 사용시 혈중 리튬 농도가 증가합니다.
메토트렉세이트와 사용시 혈액학적 독성이 증가될 수도 있습니다.
항응고제, 스테로이드,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와 사용시 위장관 출혈 위험이 증가합니다.
주요 이상 사례
위장관계 이상 반응, 어지러움, 간효소 수치 이상, 가려움, 발진을 포함한 피부 이상반응 사례가 있었습니다.
'바이너리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천 맛집] 내돈 내산 제천 꿀참나무 후기 (0) | 2022.07.22 |
---|---|
[검암 검암동 맛집] 검암 왕코등갈비 (0) | 2022.07.21 |
서울메디케어 반드시 알고가야만하는 10가지 꿀팁 (1) | 2022.07.15 |
레디프리산 복용 후기 - feat. 대장내시경 (1) (0) | 2022.07.14 |
상암동 DMC 진돈 돈까스 맛집 (위치, 메뉴, 장소분위기) (0) | 2022.07.14 |
댓글